스터플빔(D. Stufflebeam)의 CIPP평가모형
교육학 공부의 애로점 중의 하나가 용어이다.
특히, 영어의 뜻풀이만 알면 과정을 순탄하게 알 수 있는데도 원어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용어의 배경이 된 원어를 찾아서 수월하게 공부할 필요를 느낀다.
CIPP모형이란?
의사결정 촉진모형의 하나이다.
평가 |
|
의사결정 |
C(맥락, 상황) |
Context evaluation |
계획단계 |
I(투입) |
Input evaluation |
구조화 단계 |
P(과정) |
Process evaluation |
실행단계 |
P(산출) |
Product evaluation |
결과단계 |
<용어해설>
● evaluation[ivæ̀ljuéiʃən].(불가산)평가, 사정(valuation); [수학]값을 구함
● con·text미국[kɑ́ntekst]|영국[kɔ́n-]
1.(CU)문맥, (문장의) 전후관계; (어떤일의) 정황, 배경, 환경
2.[균류]버섯의육질 (부분)
● in·put 미국[ínpùt]|영국|투입, 입력
1.[경제]투입(投入)(량) input-outputtable투입 산출표(表)
2. (기술적문제의해결을위한) 정보, 데이터
3.[기계·전자]입력; [컴퓨터]입력 (신호), 입력조작(to)
4.(스코)기부(contribution)
● proc·ess 미국[prɑ́ses]|영국[próu-]| 1 과정, 진행 2 가공하다
● prod·uct 미국[prɑ́dʌkt, -dəkt]|영국[prɔ́d-]
n. 제품
v. 생산하다 ..
Daniel Stufflebeam과 Egon Guba가 제안한 CIPP모형이다. CIPP는 네가지 형태의 평가를 지칭한다. 즉 맥락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이며 이 머릿 글자를 합해서 CIPP라고 부른다. CIPP모형의 특징은 평가활동과 의사결정 사이의 순환관계로서 평가자와 의사결정자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개선하여 나가는 것에 있다. 즉, 이 모형에서는 교육평가의 목적을 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촉진시키는데 두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모형에서 평가자는 교육현상의 가치에 대해 개인적인 평가를 하지 않고 가치를 결정하고 의사결정자에게 정보를 수집하여 제시해 주는 역할만을 담당하게 된다. 이 모형의 대표적인 제안자인 Staffle Beam은 의사결정 상황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이 달라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사결정 상황은 전멱개혁상황, 현상유지상황, 점진적 개혁상황, 혁신적 변화상황으로 구분하고 있고, 의사결정 유형은 계획적 의사결정, 구조적 의사결정, 수행적 의사결정, 재순환 의사결정의 네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그는 상기한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평가 유형을 계획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맥락평가, 구조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투입평가, 수행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평가, 재순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산출평가로 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기타정보 관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기 청아람알리미 모니터 활동 (0) | 2015.01.06 |
---|---|
Aging Power (0) | 2014.12.05 |
가네(Robert Mills Gagné)의 9가지 교수사태(=수업사태) (0) | 2011.06.04 |
가네(Gagné)의 학습외적 요인 중 접근의 권리 (0) | 2011.06.04 |
프리맥의 원리(Premack principle) (0) | 2011.06.04 |